토폴로지
R-1, R-2 라우터에 HSRP 설정을 하여 게이트웨이 이중화를 구현할 것입니다.
HSRP 설정
R-1
R-1(config)#int f0/0
R-1(config-if)#standby 7 ip 172.17.10.254
HSRP 그룹 7의 가상 IP 주소를 172.17.10.254로 설정합니다. 이 IP 주소가 Active 라우터에서 사용되며,
장애 발생 시 Standby 라우터가 이를 인계받게 됩니다.
R-1(config-if)#standby 7 priority 105
HSRP의 우선순위를 105로 설정합니다. (기본값: 100)
R-1(config-if)#standby 7 preempt
이 라우터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경우, 기존 Active 라우터를 대체하여 Active 상태가 됩니다.
%HSRP-6-STATECHANGE: FastEthernet0/0 Grp 7 state Speak -> Standby
%HSRP-6-STATECHANGE: FastEthernet0/0 Grp 7 state Standby -> Active
HSRP 그룹 7의 상태가 Speak -> Standby, 이후 Standby -> Active로 변경되었습니다.
R-1(config-if)#standby 7 timer 3 10
- 3: Hello 패킷을 3초마다 전송 (기본값: 3초)
- 10: Holdtime을 10초로 설정 (기본값: 10초)
R-1(config-if)#standby 7 track s0/0/0
인터페이스 s0/0/0에 트래킹 설정을 하여 장애 발생시 HSRP가 동작되도록합니다.
R-2
R-2(config)#int f0/0
R-2(config-if)#standby 7 ip 172.17.10.254
%HSRP-6-STATECHANGE: FastEthernet0/0 Grp 7 state Speak -> Standby
HSRP 그룹 7의 상태가 Speak -> Standby가 되었습니다.
R-2(config-if)#standby 7 preempt
R-2가 Active 상태가 될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기존 Active 라우터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합니다.
R-2(config-if)#standby 7 timer 3 10
R-1은 Active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말 장치의 게이트 웨이는 가상 IP로 설정되었고 실제 통신은
연결된 물리적 IP로 통신하게 됩니다.
R-2는 Pri 값이 100으로 기본값이기 때문에 Standby 상태입니다. 같은 가상 IP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R-1에서 장애 발생시 Active 모드가 되어 역할을 대체 하게 됩니다.
단말인 pc1에서 R-1을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애발생
트래킹하던 인터페이스에서 장애가 발생하자 Active-> Speak -> Standby 모드로 변경된다.
R-2는 Standby - Active로 상태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Standby에는 R-1의 주소가 들어가게 됩니다.
연결된 단말 장비도 R-2의 물리적 주소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애복구
장애복구 후 R-1은 다시 Active 상태로 전환 되었습니다.
R-2는 Standby가 되어서 대기모드로 전환됩니다.
단말 장비역시 원래 R-1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work > 라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RP(1) (0) | 2025.03.07 |
---|---|
동적라우팅 - BGP (0) | 2025.02.08 |
PPP_Email 실습 (2) (0) | 2025.02.04 |
동적 라우팅 EIGRP (1) (2) | 2025.02.01 |
CBAC 액세스 리스트 실습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