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P 통신(2)
·
Network/스위치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ARP가 실제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 오늘의 주제입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아니다'입니다.지금 부터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2. 왜 MAC 주소가 필요할까?일단 먼저 왜 MAC 주소가 필요한지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제가 L2에서는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L2에서만 쓴다는 것은 아닙니다.L2에서 다룬다는 건 그 위에 계층에 속한 장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L3 계층에 속하는 라우터 역시 통신하려면 MAC 주소가 필요합니다. MAC 주소는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이며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할당되 고유 식별번호 입니다.PC는 인터페이스가 주로 1개니 MAC..
ARP 통신(1)
·
Network/스위치
저번 포스팅에서 스위치의 기본 동작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생각할 부분이 있습니다.제가 L2는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ping을 날릴 때는 IP 주소를 사용했습니다. 저는 IP 주소로 데이터를 보냈는데 어떻게 스위치에서 이것을 처리 할 수 있었을까요?그것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는 3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이번 시간에는 AR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넷 프레임스위치에서는 비트 신호로들어온 데잍를 이더넷 프레임으로 변환합니다. 각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프리앰블(Preamble) : 프레임 시작을 알리는 동기화 비트 패턴으로, 수신 측에서 프레임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목적지 MAC 주..
네트워크 L2 스위치 개념과 기능(2)
·
Network/스위치
토폴로지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이 있습니다. 하나의 스위치에 4대의 pc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그렇다면 스위치는 어떻게 pc간의 통신을 이루어지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Floodingpc1이 pc3으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가정하면 pc1의 데이터가 스위치를 거쳐 pc3으로 가야합니다. 이 때 스위치는 먼저 Mac adreess table을 확인을 합니다. table에 pc3에 해당하는 Mac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현재는 스위치에 Mac 주소가 비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스위치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비로 브로드캐스팅을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받은 pc들은 자신의 Mac 주소가 맞으면 응답하고 맞지 않으면 데이터를 버립니다. 이렇게 스위치가 목적지..
네트워크 L2 스위치 개념과 기능(1)
·
Network/스위치
L2 스위치란?L2 스위치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돕는 장비입니다.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며, 허브와 달리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로만 전달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습니다.원리1. FloodingFlooding은 모든 네트워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입니다. L2 스위치에서는 특정 데이터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을 때, 패킷을 네트워크의 모든 연결된 포트로 전송하여 목적지를 찾습니다. 이는 일종의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목표는 데이터의 도착지를 알아내는 데 있습니다.Flooding의 장점초기 네트워크 학습 지원스위치가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의 MAC 주소를 학습하도록 돕습니다...
스위치 Trunk 포트
·
Network/스위치
트렁크트렁크 포트(Trunk Port)는 스위치에서 여러 VLAN(Virtual LAN)의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는 포트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간 VLAN 트래픽을 전달하거나, 스위치와 라우터 또는 L3 스위치 간 VLAN 통신을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트렁크 포트의 주요 특징 여러 VLAN 지원트렁크 포트는 한 번에 여러 VLAN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각 프레임은 VLAN 태그(802.1Q 태그)를 포함하며, 이 태그를 통해 어떤 VLAN의 데이터인지 식별됩니다.VLAN 태그를 사용한 트래픽 구분트렁크 포트로 전달되는 프레임은 VLAN 태그가 붙은 상태로 전송됩니다.이 태그에는 VLAN ID가 포함되어 있어, 수신 스위치나 장치가 해당 프레임이 어떤 VLAN에 속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Vlan이란?
·
Network/스위치
정의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랜물리적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가상적으로 구성된 근거리 통신망(LAN). LAN 스위치나 비동기 전송 방식(ATM) 스위치를 사용해서 물리적인 배선에 구애받지 않고 방송 패킷(broadcast packet)이 전달되는 범위를 임의로 나누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가상랜(VLAN)에 속한 단말들은 같은 LAN에 연결된 것과 동일한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LAN 스위치를 거쳐 가상랜(VLAN)을 구성하기 위해 IEEE 802.1Q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스위치의 구조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OSI 7 계층 중에서 2계층 장비입니다. 2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사용하여 통..